개요

실무에 필요한 HTTP 핵심 기능과 HTTP API설계 방법을 학습한다.

  • 목차
    • HTTP 정의
    • HTTP의 비연결성 (Connectionless)
    • HTTP(Protocol) 오버헤드
    • HTTP의 무상태성 (Stateless)
    • HTTP 통신의 구성 요소
    • HTTP 상태 코드
    • HTTP 메서드 종류와 특징
    • HTTP 캐싱
    • HTTP 쿠키
    • CORS(Cross-Origin Resource Sharing)

HTTP 정의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란?

  • 인터넷에서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는 텍스트 기반의 통신 규칙 또는 프로토콜. -> 인터넷 통신규칙

HTTP 동작방식

  • “요청” 과 “응답” 메세지로 대응되는 구조로서 클라이언트는 특정 형식의 요청 메서드, URI 와 request modifiers, 클라이언트 정보, body contents를 포함한 MIME 타입의 프로토콜 버전을 서버로 전송한다. 서버는 프로토콜 버전, 상태 코드, 상태 메세지, 서버정보, 구성 메타정보와 응답 본문을 포함하여 응답한다.

 

HTTP의 비연결성 (Connectionless)

  • 클라이언트와 서버가 한 번 연결을 맺은 후, 클라이언트 요청에 대한 응답을 마치면 연결을 끊어 버리는 특성. HTTP는 불특정 다수의 통신 기반으로 설계되어 있으므로 연결 유지를 위한 리소스를 줄여 더 많은 유저의 요청을 처리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게 됨.

 

HTTP(Protocol) 오버헤드

  • 네트워크를 통해 대상으로 라우팅되는 데이터와 함께 전송되어야하는 정보를 말하며, 올바른 대상에 도달하기 위해 전송중인 데이터에 추가로 보내지는 정보.
  • 통상 패킷/프레임 등의 선두에 있는 헤더(Header) 상에 위치하므로 Header 라고도 함.
  • 전송 기능 자체는 내가 보내고자 하는 대상에게 제대로 도착했는지를 확인하지 않는다. “보내다” 라는 행위의 본질은 아니지만 원하는 대상을 정확히 찾아내어라는 간접적인 처리를 프로토콜 오버헤드를 통해 하는 것.
  • 전송중인 데이터와 관련없는 정보들이 담겨 있지만 출발지 및 도착지 주소와 같이 주 기능을 보완해 줄 수 있는 정보들이 담겨있음. -> 정보 전송의 신뢰성 상승 및 안정적 시스템 운용 가능.
  • 오버헤드에 관한 정보통신기술용어해설에 기술된 정의
    • 목적
    • 정보 전송의 신뢰성 확보 및 시스템의 안정적 운용 등을 위함
    • 성격
    • 실제 운반되는 정보(페이로드)에 추가되는 성격의 운용 및 유지보수를 위한 신호
    • 담겨진 정보
    • 각 전송 구간별 페이로드의 종류,형태, 출발지 및 도착지 주소, 운용 유지보수 정보 등
    • 위치
    • 통상, 오버헤드는 패킷/프레임 등의 선두에 있는 헤더(Header) 상에 위치함

 

HTTP의 무상태성 (Stateless)

  • Connectionless로 인해 클라이언트를 식별할 수 없는 상태. -> 요청에 대한 응답을 처리한 후 연결을 끊어버린 서버가 클라이언트의 이전 상태를 알 수 없는 현상을 말함.
    • cookie, session, token 으로 상태를 기억하여 단점을 보완함.

 

HTTP 통신의 구성 요소

  • 클라이언트 (user Agent) : 사용자를 대신해 요청을 보내는 일을 수행
  • 서버 (server) : 클라이언트가 요청하게 되는 대상으로, 개발자가 특정 기능을 수행하도록 설계해 놓은 코드를 실행하여 클라이언트에게 정보를 제공함.
  • 프록시 (proxy) : 서버와 클라이언트 사이의 중계 역할을 함. 동일 프로토콜로 연결하며 캐싱, 필터링, 로드 밸런싱, 인증, 로깅 역할 수행
  • 참고. 중계역할을 하는 요소들
    • 게이트웨이 (gateway) : 프록시 처럼 중계 역할을 하나, HTTP 프로토콜 이외 기능 수행 (프로토콜 변환 등)
    • 릴레이 (relay) : 단순 프록시 (단순 중계)역할만 함

 

HTTP 상태 코드

클라이언트가 서버에 요청을 하면, 서버는 요청에 대한 처리 상태를 숫자로 반환하는 것

  • 상태코드의 분류
    • 1XX: Informational(정보 제공) 요청이 수신되어 처리중이라는 의미.
    • 2XX: Success(요청 성공) 클라이언트의 요청이 서버에서 성공적으로 처리되었다는 의미.
    • 3XX: Redirection(리다이렉션) 완전한 처리를 위해서 추가 동작이 필요한 경우로 주로 서버의 주소 또는 요청한 URI의 웹 문서가 이동되었으니 그 주소로 다시 시도하라는 의미.
    • 4XX: Client Error(클라이언트 에러) 없는 페이지를 요청하는 등 클라이언트의 요청 메시지 내용이 잘못된 경우를 의미.
    • 5XX: Server Error(서버 에러) 서버 사정으로 메시지 처리에 문제가 발생한 경우입니다. 서버의 부하, DB 처리 과정 오류, 서버에서 익셉션이 발생하는 경우를 의미.
  • 주요 상태코드
    • 200 : 서버가 요청을 제대로 처리함
    • 400 : 잘못된 요청 (주로 헤더 포멧이 HTTP 규약에 맞지 않을 경우)
    • 401 : 권한 없음 (지정한 리소스에 대한 접근권한 없음)
    • 403 : 금지됨 (지정한 리소스에 대한 접근 금지. 서버가 요청을 거부하고 있다는 의미)
    • 404 : 찾을 수 없음 (요청한 자원이 서버에 존재하지 않음)
    • 500 : 내부 서버 오류 (서버에 에러가 발생한 것을 의미)
    • 503 : 서비스 불가능 (주로 Proxy 장비에서 서버에 서비스가 불가능할 때 사용됨)

 

HTTP 메서드 종류와 특징

GET - Cacheable

  • 조회를 목적으로 사용하는 메서드. 데이터를 읽거나(Read) 검색(Retrieve)할 때 사용함.

POST

  • 서버로 데이터를 전송할 때 사용하는 메서드. 본문 유형은 Content-Type 헤더로 나타냄.
  • POST 요청은 보통 HTML form을 통해 서버에 전송하며, 서버에 변경사항을 만듬(멱등성이 없음).
  • 신선도 정보 포함시에만 캐싱

PUT

  • 데이터 갱신, 작성시 사용하며 주로 수정 시 사용하는 메서드.(모든 자원이 변경되므로 주의)
  • PUT은 한 번을 보내도, 여러 번을 연속으로 보내도 같은 효과를 보임(멱등성이 있음).

DELETE

  • 지정한 리소스의 삭제를 목적으로 함.

HEAD - Cacheable

  • 서버 리소스의 헤더(메타 데이터)의 취득이 목적으로 특정 리소스를 GET 메서드로 요청했을 때 돌아올 헤더를 요청함.

OPTIONS

  • URL 또는 서버에 대해 허용된 통신 메서드를 요청함. 클라이언트는 이 방법으로 URL을 지정하거나 “*” 을 지정하여 전체 서버 참조 가능.
  • CORS 사전 요청시 OPTIONS 로 요청함.

PATCH

  • 리소스의 일부분을 수정시 사용함.
  • PUT 과는 달리 일부의 자원만 수정 가능.

CONNECT

  • 요청한 리소스에 대해 양방향 연결을 시작하는 메소드로 터널을 열기 위해서 사용될 수 있음.
  • SSL을 사용하는 웹사이트에 접속하는데 사용될 수 있음. 1) 클라이언트는 원하는 목적지와의 TCP 연결을 HTTP 프록시 서버에 요청 2) 서버는 클라이언트를 대신하여 연결 생성 3) 한번 서버에 의해 연결이 수립되면, 프록시 서버는 클라이언트에 오고가는 TCP 스트림을 계속 프록시 함.

TRACE

  • 클라이언트와 목적지 서버 사이에 있는 모든 HTTP 애플리케이션의 요청/응답 연쇄를 따라가면서 자신이 보낸 메시지의 이상 유무 파악 가능함.

 

HTTP 캐싱

  • 한 번 가져온 데이터를 가까운 곳에 저장해 두고 다음번에 다시 먼 곳에서 그것을 가져올 필요 없이 저장해둔 것을 사용하는 일종의 성능 향상 기법
  • HTTP 응답을 저장해 두고 다음번에 동일한 HTTP 요청이 시도되면 저장해 둔 HTTP 응답을 재활용.
  • HTTP 응답을 저장해 두는 저장소
    • 사설 캐시(Private Cache). 지역 캐시(Local Cache)라고도 부름.
      • 한 사용자에 의해서만 재활용될 수 있는 것들이 저장되는 저장소. 최초의 HTTP 요청은 서버에게 전송되어 HTTP 응답을 받아오게 되고, 이를 사설 캐시에 저장해 두면 다음번에 동일한 HTTP 요청이 시도될 때는 서버에 해당 HTTP 요청을 다시 보내지 않고 저장되어 있는 HTTP 응답을 재활용하게 된다. 대표적인 사설 캐시로는 브라우저 캐시가 있다. 브라우저 캐시는 기본적으로 사용자가 HTTP 요청을 통해 다운로드한 모든 문서들을 저장하고 있다. 이렇게 저장된 문서들은 뒤로 가기 혹은 앞으로 가기를 할 때, 문서 저장을 할 때, 페이지 소스 보기를 할 때 등의 경우에 재활용이 된다.
    • 공유 캐시(Shared Cache).
      • 여러 사용자들에 의해 재활용될 수 있는 것들이 저장되는 저장소. 최초의 HTTP 요청은 공유 캐시를 거쳐 서버에게 전송되어 HTTP 응답을 받아오게 되고, 이를 공유 캐시에 저장해 두면 다음번에 동일한 HTTP 요청이 공유 캐시에게 전달될 때 서버에 해당 HTTP 요청을 다시 보내지 않고 저장되어 있는 HTTP 응답을 클라이언트에게 반환하게 된다. 대표적인 공유 캐시로는 프록시 캐시가 있다. ISP 혹은 회사 측에서 로컬 네트워크 인프라의 일부로서 구축해둔 웹 프록시가 이러한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 그러면 자주 사용되는 데이터들의 경우에 네트워크 트래픽을 최소화하여 많은 구성원들이 해당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HTTP 쿠키

HTTP 쿠키란?

  • 서버가 사용자의 웹 브라우저에 전송하는 작은 데이터 조각. 브라우저는 그 데이터 조각들을 저장해 놓았다가, 동일한 서버에 재 요청 시 저장된 데이터를 함께 전송.
  • 쿠키는 stateless 한 HTTP 통신에서 클라이언트에게 정보(표시)를 주어 해당 클라이언트를 식별하기 위한 목적으로 만들어짐.

HTTP 쿠키 특징

  • 쿠키는 한개에 4KB 까지 저장 가능하며, 최대 300개 까지 저장할 수 있다.
  • 쿠키는 클라이언트에 저장된다.
  • 쿠키에는 이름, 값, 만료날짜, 경로 정보가 들어있다.
  • 기본적으로 쿠키는 웹 브라우저가 종료되면 삭제된다. (만료날짜를 지정해 주면 만료일이 되야 삭제된다.)
  • 웹 브라우저에 해당 서버의 쿠키 정보가 있으면 HTTP 요청 (HTTP 헤더의 Cookie)에 무조건 담아 보낸다.

HTTP 쿠키 동작방식

요청을 받은 서버에서 쿠키를 클라이언트(웹 브라우저)로 보내고 클라이언트는 쿠키를 받으면 도메인 서버 이름으로 정렬된 쿠키 디렉토리에 쿠키(정보)를 저장한다.
이후 클라이언트가 동일한 서버로 HTTP 요청을 보내면 저장된 쿠키도 같이 전송되며, 만약 서버에서 쿠키에 업데이트된 내용이 있으면 응답할 때 다시 업데이트된 쿠키를 보내준다.

HTTP 쿠키 보안

  • Secure
    쿠키는 기본적으로 http, https를 구분하지 않고 전송함.
    Secure 옵션을 적용하면 https인 경우에만 쿠키를 전송하게 됨.
  • HttpOnly 해당 옵션 적용 시 자바스크립트에서 document.cookie 접근이 불가능 하게 되며, HTTP 전송에만 사용 가능하게 됨.
  • SameSite
    • Strict : 동일한 도메인에서만 쿠키 전송 허용
    • Lax : 기본적으로는 Strict과 동일하지만 safe한 요청(http get 방식, anker tag, 를 통한 접근은 허용
    • None : 모든 전송 허용. 보안에 취약하므로 주로 https 프로토콜에 secure 속성과 함께 사용.

 

CORS(Cross-Origin Resource Sharing)

CORS 란?

  • 교차 출처 리소스 공유(Cross-Origin Resource Sharing, CORS)는 말 그대로 다른 출처의 리소스 공유에 대한 허용 / 비허용 정책을 말함.
  • 웹 애플리케이션은 리소스가 자신의 출처(도메인, 프로토콜, 포트)와 다를 때 교차 출처 HTTP 요청을 실행함.
  • <img>, <video>, <script>, <link> tag 등은 기본적으로 Cross-Origin 정책을 지원함.
  • XMLHttpRequest나 Fatch API는 same-origin 정책을 따르므로 Cross-Origin 불가 (보안상의 이유로 브라우저에서는 내부에서 작성된 cross-origin HTTP를 제한하고 있음.)

브라우저의 CORS 동작방식

  1. 클라이언트에서 HTTP request header에 Origin을 담아 전달
  2. 서버는 응답헤더에 Access-Control-Allow-Origin 을 담아 클라이언트로 전달
  3. 클라이언트에서 Origin과 서버가 보내준 Access-Control-Allow-Origin을 비교 후 유효하지 않다면 CORS 에러 발생

CORS 작동 방식 3가지

  1. 예비 요청 (Preflight Request): 본 요청을 보내기 전에 브라우저 스스로 안전한 요청인지 확인하기 위해 OPTIONS 메서드를 이용하여 예비 요청을 보내는 것. - 예비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서버로부터 허용, 금지에 대한 헤더 정보를 받게 됨. 브라우저는 해당 요청이 안전한지 확인 한 후 본 요청을 보냄.
  2. 단순 요청 (Simple Request) : 예비 요청(Prefilght)을 생략하고 바로 서버에 본 요청을 보낸 후, 서버가 Access-Control-Allow-Origin 헤더를 응답해주면 브라우저가 CORS정책 위반 여부를 검사하는 방식.
    - 3가지 경우를 만족할 때만 가능
    1) 요청의 메소드는 GET, HEAD, POST 중 하나여야 함.
    2) 요청이 Accept, Accept-Language, Content-Language, Content-Type, DPR, Downlink, Save-Data, Viewport-Width, Width 헤더일 경우 에만 가능.
    3) Content-Type 헤더가 application/x-www-form-urlencoded, multipart/form-data, text/plain 중 하나여야 함.
  3. 인증된 요청 (Credentialed Request) : 클라이언트에서 서버로 요청을 보낼 때 자격 인증 정보(Credential)를 함께 전달하는 것.
    • 자격 인증 정보란 세션 ID가 저장되어있는 쿠키(Cookie) 혹은 Authorization 헤더에 설정하는 토큰 값 등
	/* 
	 * 클라이언트 설정 
	 * request 요청 script에서 credentials 옵션을 설정해 준다. 
	 */
	// credentials 설정 옵션 값 
	same-origin (기본값) : 같은 출처 간 요청에만 인증 정보 전송 가능
	include	: 모든 요청에 인증 정보 전송 가능
	omit : 모든 요청에 인증 정보 전송 불가

	// 서버 설정   
	Access-Control-Allow-Credentials : true
	Access-Control-Allow-Origin : "*" 불가
	Access-Control-Allow-Methods : "*" 불가
	Access-Control-Allow-Headers : "*" 불가

 

CORS 해결책

  • 서버 문법에 맞게 Access-Control-Allow-Origin 헤더값에 허용할 출처 설정
  • 프록시 서버 직접 구축
  • 서버에서 직접 통신 구현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