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바위 캐릭터인 알베도.

호행종알을 쓰기 위해 뽑았다.

알베도의 스토리도 마음에 들고 바위파티의 베터리 역할도 출중하지만.. 개인적 애정도는 하위권.

 

무기 진사의 방추는 이벤트로 뿌린 건데 알베도 전용무기나 다름없다.

덕분에 방어력이 엄청나게 상승!

언젠간 진사의 방추를 주는 이벤트가 복각하지 않을까? 싶다. 

 

성유물은 바위속성답게 껍데기 4셋. 

시계 성배 왕관을 전부 방어력으로 맞추는 세팅이 극종결을 맞추지 않는 나같은 공기러에게는 성능 면에서 더 좋지만

노엘 6돌 기념으로 세팅한 성유물이 있어 레진도 아낄 겸 전부 알베도 줬다. 아무리 6돌이어도 노엘은 정말 안쓰게 되더라.

레진을 아껴서 다른데 투자하자!

알베도 스코어 13.92

여러모로 아쉬운 스팩. 

애정캐들 먼저 세팅해주고 나중에 할련다.

반응형
반응형

물속성 한손검 서포터로 사용하는 행추

행추는 4성이지만 다들 물의신이라고 불러줄 만큼 엄청난 성능캐다.

베넷과 더불어 탈 4성 캐릭터.

스킬 / 특성

원소스킬은 정면의 적에게 물속성 대미지를 주고, 몸 주변에 우렴검을 형성하는데 그게 넉백과 대미지 피해를 어느정도 줄여주고, 일정시간이 지나 우렴검이 사라지는데 혹시 검이 남아있다면 약간의 힐도 들어온다. 대충만 설명했지만 기능이 많다 진짜..탈 4성 맞는듯.

원소폭발도 우렴검을 형성하는데 추가로 일반공격시마다 물속성 공격을 뿜는다. 야란의 원소폭발과 매커니즘이 비슷함.

물 원소 피해를 평타마다 더해주기 때문에 호두나 라이덴 같은 메인딜러들의 DPS를 높여주는 최고의 서포터.

무기

행추의 전용무기나 다름없는 제례검.

제례 시리즈 특징이 확률적으로 원소스킬 쿨타임을 초기화 해주기 때문에

제련 단계가 높아지면 거의 한 싸이클에 원소스킬을 두번씩 쓸 수 있다. 

행추는 원소스킬 대미지도 꽤 높기 때문에 제례검을 쓰면 딜과 원충의 이점이 크다.

성유물

몰락2 왕실2

제례검 행추는 무기에 원충이 붙고 원충 수치도 많이 요구하지 않기 때문에 (원충이 150 정도여도 싸이클 잘 돌아간다.)

공격력 시계를 쓸 수 있다.

성배는 물원피

왕관은 치확.

난 원충이 너무 높고 치피가 낮음. 서포터라 종결셋팅을 하기 보단 적당히 타협함.

레진을 아껴야 메인 딜러한테 투자를 할 수 있다!

22스코어. 

준종결과 종결 사이쯤인데 충분히 잘 쓰고 있다. 

평타를 쳐야 하는 메인들러들과의 조합이 최고.

반응형
반응형

가끔 캐릭 스팩이 보고싶을 때가 있는데 그 때마다 찾아보기 힘들어서 한 번에 정리할 예정.

 

시작 시점 : 2.0버젼 끝나기 1주일 전 (요이미야가 신캐 픽업으로 나온 버젼)

과금 여부 : 현재 공월&기행만 월정액 느낌으로 삼

과금 특이사항 : 

      1)  2.1버젼때 초회(처음 크리스탈을 구매할 때는 구매량의 두배를 주는 것을 말함)를 초기화 해주기 때문에

          2.1 되기 전에 초회를 지르라는 말을 원신 공카나 다른 커뮤니티에서 너무 많이 들어 1트럭 질러 둠.

       2) 호두는 1돌이 국룰이라는 말을 듣고 초회 다 깸. 그 후 현타가 와서 크리스탈 구매 안함.

       3) 무기뽑은 손도 안댐.

개인적으로 원신은 캐릭이나 무기에 대한 욕심을 버리고 공월&기행만 사는게 베스트 인 것 같다.

게임을 매일 꾸준히 하면 공월 기행 만으로도 매월 반천장 이상은 볼 수 있다. 만족.

반응형
반응형

불속성 창 캐릭터 호두.

성능 좋고 인기도 많은 불속성 캐릭터

 

스킬 / 특성

주로 강공격을 사용하는 호두는 1돌파가 강공격시 스테미너 소비를 줄여주기 때문에 1돌 효과가 좋다는 평.

난 1돌 하고 쓰다보니 굳이 1돌을 하지 않아도 강공격후 점캔(점프 캔슬)으로 충분히 운용 가능하다.

단지 조금 불편할 뿐.

메인딜러 포지션에 평타, 원소스킬, 원소폭발 다 잘 쓰기 때문에 888을 줬다.

나중에는 특성 셋다 왕관을 줄 예정이다.

무기

물론 5성 호마가 있으면 당연히 좋겠지만.. 무소과금인 나는 4성 전용무기나 다름없는 용학살창 을 쓰면 된다. 하하

성유믈

시메 4셋 

 - 불속성 캐릭은 마녀 성유물이 더 좋지만, 파밍이 어렵고 효율이 안좋다고 한다. 라이덴을 포함하여 가장 많은 캐릭터가 사용하는 절연 성유물을 파밍하면서 나온 시메로 호두를 맞추는게 레진 효율이 좋다.

 

원신 스트리머 몽키매직 님이 올려주신 스코어 계산기로 확인해 본 호두의 스코어.

15 스코어 = 준종결
25 스코어 = 종결
30 스코어 = 극성맘ㅋ

이라고 하니 종결급의 스팩이군. 너무 좋다.

 

반응형
반응형

리엑트는 사용자 정의 태그를 만드는 언어다.

사용자 정의 태그를 리엑트에서는 컴포넌트 라고 부른다.

 

리엑트를 사용하는 것은 결국 컴포넌트를 만들고 사용할 줄 알아야 하는 것이다.

 

그럼 컴포넌트를 만들고 활용해 보자.

 

 

App.js 의 내용을 위와같이 수정해보았다.

 

4~8라인의 funciotn Header 부분이 사용자 정의 테그를 정의한 것이다.

사용자 정의 테그를 만들때에는 함수 명칭의 첫 글자를 무조건 대문자로 해야 한다.

 

13라인의 <Header></Header> 부분이 위에서 정의한 Header 컴포넌트를 적용한 부분이다.

컴포넌트 명칭을 HTML 태그처럼 적어주기만 하면 바로 화면에 적용되는걸 볼 수 있다.

 

 

그러면 사용자 정의 태그를 좀 더 만들어보자.

위에서는 Header 부분을 만들었으므로 아래에서는 nav와 article 부분을 컴포넌트로 만들어보자.

 

 

만들고 나면 위의 이미지와 같다.

 

주의사항대로 컴포넌트를 정의할 때 명칭을 대문자로 하였고,(10, 20라인)

해당 명칭을 HTML 태그처럼 기입해주었다. (31, 32라인)

 

이렇게 적용하면 컴포넌트를 만들기 전이나

컴포넌트를 만든 후나 결과 화면은 똑같다.

 

하지만 컴포넌트로 구성했기 때문에

- 해당 컴포넌트만 따로 공유하기 쉽고

- 컴포넌트의 정의 부분만 수정하면 컴포넌트를 적용한 부분은 일괄 수정이 된다는 장점이 있다.

 

이것이 리엑트의 본질! 컴포넌트다.

반응형

+ Recent posts